한때 모기업 CJ에서 떨어져 나와 방황하던 제약사. 그러나 지금은 신약 하나로 글로벌 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중입니다. 바로 HK이노엔 이야기인데요.
이번 주, 이 회사를 주목해야 할 결정적인 이유가 생겼습니다.
기업 개요 – CJ에서 한국콜마로, 그리고 독립 브랜드로
HK이노엔은 1984년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로 출발했습니다. 이후 2014년 CJ헬스케어로 분사되며 독립했고, 2018년에는 한국콜마가 인수하면서 새 주인을 맞았죠. 지금의 이름인 HK이노엔은 2020년에 탄생했습니다.
본사는 충북 청주 오송에 있으며, 2024년 기준 매출은 약 8,971억 원, 영업이익은 882억 원, 순이익은 616억 원입니다. 말 그대로 제약계에서 꽤 '잘 나가는' 중견 기업이죠. 임직원 수는 약 1,700명 수준입니다.
테마 & 강점 – 케이캡 하나로 글로벌도, 실적도 잡았다
HK이노엔을 말할 때 빠질 수 없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케이캡'.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대한민국 30호 신약이죠. 2019년 출시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며 국내외에서 존재감을 키웠습니다.
놀라운 건 이번 주 발표입니다. 미국에서 진행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EE)' 대상 3상 임상시험에서 주요 지표를 충족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거든요. FDA에 연내 신약허가신청(NDA)을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이건 정말 큰 뉴스예요.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이 미국 허가에 도전하는 일은 결코 흔치 않으니까요[1].
케이캡은 국내 시장에서도 확고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올해 2분기 국내 처방액은 533억 원, 상반기 누적 1,047억 원으로 연간 2,000억 원 돌파가 가시권에 들어왔어요. 꾸준한 현금창출원이 되고 있다는 뜻이죠[2].
수액 사업도 조용히 강자입니다. 오송과 음성 공장에서 연간 1억 개 이상의 수액을 생산하고 있고, 고부가가치 종합영양수액(TPN)도 연내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에요. 병원 납품 중심의 B2B 비즈니스라 꾸준한 수익을 창출합니다.
여기에 헬스·뷰티 브랜드까지. 숙취해소제 '컨디션', 헛개수, 제로칼로리 아이스티 '티로그', 슬로에이징 스킨케어 '비원츠'까지... 제약사의 무게감을 유지하면서도 소비자와의 접점도 놓치지 않았죠.
쉽게 말해, '위 하나, 아래 하나, 겉도 예쁘게' 챙긴 사업 구조입니다.
주가 흐름 및 실적 – 숫자에 담긴 메시지
2025년 1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은 전년 대비 16.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7.0%, 순이익은 무려 66.2%나 뛰었습니다. 말 그대로 깜짝 실적이에요[3].
시가총액은 약 1.27조 원 수준. PER는 20.7배, ROE는 5.02%입니다.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인정받는 구간에 들어왔다는 뜻이죠. 투자자 입장에서는 꽤 매력적인 수치입니다.
향후 이벤트 – '케이캡 그다음'도 준비 중입니다
가장 큰 이슈는 단연 케이캡의 미국 FDA 허가 여부입니다. 이미 3상을 성공적으로 마쳤기에, 신약허가신청서(NDA) 제출 후 결과가 나온다면 HK이노엔의 위상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어요.
그리고 그 다음? 비만·당뇨 치료제입니다. 'IN‑B00009'라는 이름의 후보물질이 있는데, 이건 GLP-1 계열 치료제로 최근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테마 중 하나죠. 이미 임상시험계획 승인도 받았습니다. '케이캡의 성공'이 R&D 투자 여력을 만들어주고, 그 자금이 다시 차세대 신약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는 겁니다[2].
또한 수액 시장에서의 고도화 전략도 유효합니다. 종합영양수액(TPN) 제품이 허가를 받으면 고부가가치 라인업이 완성되죠. 글로벌 수액 시장 역시 꾸준히 성장 중이기 때문에, 장기적 성장 기반이 됩니다.
더 이상 중견 제약사가 아닙니다
신약 하나로 실적도, 시장도, 미래도 바꿔낸 회사. 케이캡의 성공은 그저 제품 하나의 히트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지속적인 수익성 확보, 글로벌 시장 도전, 후속 파이프라인 준비까지. 제약사의 교과서 같은 성장을 보여주는 중입니다.
이제 HK이노엔을 단순히 '중견 제약사'라고 부르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이 회사, 진짜 '바이오헬스 유니콘'이 될지도 모릅니다.
참고 출처 [1] 네이트뉴스, 〈HK이노엔 신약 '케이캡', 美 3상 성공〉, 2025.08.08, https://news.nate.com/view/20250808n05423 [2] 다음뉴스, 〈'케이캡' 분기 처방 500억원대 안착〉, 2025.08.08, https://v.daum.net/v/20250808062114306 [3] 에프앤가이드, 〈HK이노엔 1분기 실적 리포트〉, 2025.08.01,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gicode=A195940
HK이노엔(A19594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FnGuide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 할 수 없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의 오류, 누락에
comp.fnguide.com
'케이캡' 분기 처방 500억원대 안착…HK이노엔, 비만신약 개발 동력 확보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HK이노엔(195940)이 개발한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 처방액이 500억 원대에 안착했다. 처방 순항 시 올해 연간 처방액 2000억 원을 돌
v.daum.net
HK이노엔 신약 '케이캡', 美 3상 성공…FDA 문 두드린다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올 4분기, 미국 FDA에 미란성 식도염,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적응증 허가 신청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제품군/사진= HK이노엔HK이노엔의 위식도
news.nate.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내일채움공제 총 정리1(신청 방법, 자격조건, 만기, 중도해지 등) (0) | 2022.04.06 |
---|---|
'2022년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금' 꼭 알아두자 (0) | 2022.03.31 |
댓글